축하합니다. 상담회 용역을 따내셨군요!
오늘은 행사를 운영하시는 주최/운영사 입장에서 펙스포를 설명드립니다.
이미 선수인 회사도 계시겠지만, 비기너를 위한 설명이라 생각하시고~
그래도 꿀팁이 들어 있을테니, 에어컨과 아이스커피 놓고 둘러 보시죠~ |
|
|
우선, 우리가 진행하는 상담회를 성격을 알면 작업이 쉬어 집니다.
- 사업형태 : 대부분이 B2B가 많습니다. 정부를 대상으로 하는 컨설턴트의 경우 B2G가 될 수 있고, 전문가와 일반인 상담회의 경우 B2C가 될 수 있습니다. 개요페이지 만들 때, 사업분류로 들어가니 참조하세요
- 규모 : 소규모의 경우, 자체 인력으로 상담회 운영을 소화합니다. 중규모부터는 엑셀 작업, 개별 이메일, 정보 수렴 등 일이 많아지고, 수동 매칭에 한계가 있어 펙스포를 찾죠 ^^, 대규모 행사는 그렇게 많지 않지만, 주최사에게 요구사항도 많고, 미팅 수의 KPI가 있어 필수로 사용하게 됩니다.
- 외국인 : 서비스 페이지 영문지원과 참가자와 소통(메일, SMS)이 되어야 운영에 문제가 없습니다.
- 장소 : 코로나 이후로 해외 바이어 온라인 참가가 정착되었습니다. 온라인 상담 위한 화상시스템이 내재되어 있어, 온라인/ 오프라인 통합 관리가 되어야 합니다.
|
|
|
상담회 참가사는 가치와 기능을 제공하는 파트와 이를 알고 받으려는 파트로 나누어지며,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이 분류 됩니다.
|
|
|
- 기관 주최 : KOTRA, SBA, 중소기업진흥공단 등은 기업의 수출지원을 위해 정기적인 수출상담회를 개최합니다. 기관 주최이다 보니, 결과 값과 보고서는 필수이며, 이를 쉽게 취합하기 위해서는 상담일지, 사후설문 취합 기능이 유용합니다.
- 협회 주최 : 기관과 협회에서는 스타트업 활성화를 위해 투자상담과 IR 발표를 정기적으로 개최합니다. 국내 대형 상담회는 참가자가 1,000명 이상으로 사전 미팅 안배(PSA)가 필수이며, 결과가 취합도 중요합니다.
- 기타 : 코로나로 힘들어진 여행업의 부흥을 위해, 상담회를 자주 개최합니다. 청소년 취업을 위한 시나 구단위 취업박람회에서도 상담회 기능은 필수요소가 되었습니다.
|
|
|
이제 상담회 성격과 참가자가 분류가 정립되었네요!
상담회는 그룹간의 매칭이므로, 매칭 알고리즘을 잘 활용하려면, 참가자간 관심사항(분류, 키워드)을 목록화 하여야 합니다.
예) 의료기기 상담회의 경우
수출기업 : 의료제조업/ 의료판매업/ 의료서비스
구매기업 : 유통상/ 소매상/ 온라인판매상
- 키워드 : 중.소분류에 해당되는 단어를 나열하여 상대 참가자가 선택하도록 합니다.
예) 의료기기 상담회의 경우 : 진찰용기기, 의료정보시스템, 의료기기부품 |
|
|
자 이제 상담회 제작을 위해 준비가 되었습니다.
다음 시간에는 개요페이지와 참가자 사전등록을 설정을 해 보겠습니다. |
|
|
|